본문 바로가기
궁금뉴스

강동구 싱크홀 -충격적인 사건들은 이어져 간다.

by infobox3987 2025. 3. 25.
반응형

 

사고현장 지도

 

싱크홀은 지반이 갑자기 내려앉는 현상으로, 그 생성 과정은 여러 가지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싱크홀의 생성 과정을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지하수 침식 및 침식작용

  • 지하수 흐름: 지하수가 땅 속에서 흘러가면서 지반 속의 석회암, 석영, 석고 등과 같은 물에 용해되는 암석을 서서히 침식합니다.
  • 동굴 형성: 이러한 침식 작용이 지속되면 지하에 동굴이 형성됩니다. 처음에는 작은 틈이 생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동굴이 점차 커지고, 그 위의 지반은 점점 더 약해집니다.

2. 지반 약화

  • 동굴의 크기 증가: 동굴 내부는 점점 넓어지고, 이로 인해 그 위에 있던 토양과 암석이 불안정해지며 점차 내려앉을 준비를 합니다.
  • 지면의 균형 붕괴: 동굴이 커지면 그 위의 지반을 지탱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지반이 무너지게 되며, 그 결과 싱크홀이 발생하게 됩니다.

3. 인위적 요인

  • 건설 활동: 도로, 터널, 상수도관 설치 등 인프라 건설 작업 중 지하의 구조물이 파괴되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지하수가 흐르고 지반이 약해지면서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수도관 유출: 오래된 상수도관의 누수나 배수 시스템 문제로 인해 지하수가 누수되어 지반이 침식되고,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강한 비나 홍수

  • 과도한 비: 비가 많이 오거나 홍수가 발생하면, 지하수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하의 빈 공간(동굴)이나 약한 지반이 무너져 내리게 될 수 있습니다.
  • 침식 가속화: 강한 비로 인해 지반의 표면이 쉽게 침식되면, 동굴의 상부가 불안정해지고 싱크홀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5. 결과적 현상

  • 싱크홀 형성: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지반이 갑자기 내려앉으면서 싱크홀이 형성됩니다. 이 때 발생한 싱크홀의 크기와 깊이는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요약

싱크홀은 주로 지하에서의 침식, 지하수 흐름, 자연적인 동굴 형성, 인위적인 작업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져서 발생합니다. 그 결과, 지반이 갑자기 내려앉으며 표면에 큰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사고현장 사진
사고현장 사진

 

 

2024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를 입은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024년 8월 29일 -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사고: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성산로 모래내 고가차도 인근 도로에서 차량이 싱크홀에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82세 남성 운전자가 중상을 입었고, 조수석에 타고 있던 76세 여성은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어 심폐소생술을 통해 의식을 회복한 후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FPN119

2. 2018년 12월 4일 - 고양시 백석역 인근 사고: 고양시 백석역 인근에서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열배관이 파손되어 도로가 갈라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도로를 지나던 승용차가 지반 침하로 추락하여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FPN119

이 외에도 여러 차례 싱크홀로 인한 도로 손상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나, 인명 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사례는 위와 같습니다. 싱크홀 발생 원인으로는 지하 시설물의 노후화, 지하수 흐름에 의한 지반 약화 등이 지목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안전 관리와 예방 대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5년 강동구 명일동 사건으로 또 한명의 피해자가 예상되니.. 참 걱정스럽네요 

반응형